본문 바로가기
경제 초콜릿 박스

결혼을 하지 않는 사회..10년 간 혼인건수 40% 감소

by 원츠머니 2024. 3. 4.
반응형

한국경제에 가장 큰 뇌관은 무엇일까요! 수출저조, 인플레이션, 미국의 금리 인상 등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하지만 그중에서 미래적으로 가장 큰 위협은 바로 출산율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출산율은 혼인의 비율과 연결됩니다. 코로나 나로 인해 혼인을 하지 못했던 시기가 있었기 때문에 출산율도 하락되었다는 보도가 많았습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에도 혼인률은 급격히 높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혼인율 및 출산율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실질적인 대안이 필요한 시기입니다. 

 

MS빙을 이용하여 만든 AI 이미지

 

혼인 건수 감소에 관한 다양한 기사 내용 정리

2024년 3월 3일:

▪️MBC 뉴스: 혼인건수 소폭 올랐지만‥10년새 40% 감소

▪️ 연합뉴스: 2023년 혼인 20만건 회복 못해…10년 새 절반으로 줄어

▪️ SBS 뉴스: 10년새 40% 줄어든 결혼… 올해는 조금 늘었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

▪️ 한국일보: : 결혼 10년새 40% 줄어… 올해 소폭 증가세 둔화

▪️ 머니투데이: : 10년새 절반으로 줄어든 결혼… 올해는 소폭 증가

 

2023년 1월 10일:

▪️ 한경비즈니스: : 2022년 결혼 19만건…10년새 절반으로 줄어든 결혼

 

2022년 1월 13일: 

▪️ 연합뉴스: 2021년 혼인 20만건 추락…10년새 43% 감소 2020년

 

1월 15일:

▪️ 연합뉴스: 2019년 혼인 26만건…10년새 34% 감소

 

2019년 1월 16일:

▪️ 연합뉴스:  2018년 결혼 27만건…10년새 30% 감소

 

2018년 1월 17일:

▪️ 연합뉴스: : 2017년 결혼 31만건…10년새 23% 감소

 

의견 : 

▪️ 혼인 건수 감소의 원인으로는 경제적 어려움, 미혼 문화 확산,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등이 꼽힙니다.

▪️ 정부는 저출산 대책으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혼인 건수 하락이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1. 소비 위축:

▪️ 결혼은 가구 형성을 촉진하고 소비 지출을 증가시키는 요인입니다. 혼인 건수 감소는 가구 형성 감소, 1인 가구 증가로 이어져 소비 위축을 초래합니다.

 

▪️ 특히, 주택, 자동차, 가구, 여행 등 고가의 내구재 소비가 감소하며, 서비스 소비 또한 위축될 수 있습니다.

 

2. 노동력 감소:

▪️ 혼인 감소와 출산율 저하로 인해 생산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노동력 부족이 심화됩니다.

▪️ 이는 경제 성장률 저하, 물가 상승, 기업 경쟁력 약화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사회 안전망 약화:

▪️ 가족 구성원 감소는 사회 안전망을 약화시키고, 노후 생활 불안, 양육 부담 증가, 사회적 고립 등의 문제를 야기합니다. 이는 사회 불평등 심화, 사회 통합 약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4. 기타 영향:

▪️ 부동산 시장 침체, 서비스 산업 위축, 지역 경제 활력 저하 등의 영향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정부 정책: 정부는 저출산 대책으로 결혼 및 출산 장려 정책을 추진하고 있지만, 아직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보입니다.

▪️ 보다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혼인 건수 감소의 다양한 원인을 파악하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인 정책 노력이 필요합니다.

 

1. 혼인이 주는 이유:

▪️ 개인적인 이유:

-사랑과 동반자 관계 형성

-가족 형성 및 자녀 양육

-정서적 안정감 확보

-경제적 안정 및 협력 사회적 인정 및 소속감

 

사회적 이유:

▪️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 수행

▪️ 사회적 안정 및 지속 가능성 확보

▪️ 문화적 가치 및 전통 유지

 

2. 혼인 현황: 최근 10년간 혼인 건수 40% 감소:

▪️ 2013년: 32만 2,807건

▪️ 2023년: 19만 3,673건

11년 연속 감소 후 2023년 소폭 증가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 '결혼 반드시 해야 한다'는 인식 감소:

-2012년: 20.3%

-2022년: 15.3%

 

미혼 비율 증가:

▪️ 2012년: 26.5%

▪️ 2022년: 34.6%

 

3. 혼인 감소의 문제점:

저출산 심화:

▪️ 2023년 합계출산율: 0.72명

▪️ 인구 감소 및 고령화 사회 가속화

 

노동력 감소:

▪️ 경제 성장률 저하 및 사회적 비용 증가

 

사회 안전망 약화:

▪️ 노후 생활 불안 및 사회적 고립 심화

 

4. 혼인 감소 해결책:

경제적 부담 완화:

▪️ 주거 문제 해결 (공공 임대주택 확대, 주거비 지원)

▪️ 혼수비용 지원 및 결혼 장려금 지급

▪️ 양육비 지원 확대

 

결혼 및 출산 문화 개선:

▪️ 일과 가정 양립 지원 (육아휴직 확대, 유연근무제 도입)

▪️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 및 남성의 가사 분담 증진

 

사회적 인식 변화:

▪️ 다양한 가족 형태 존중

▪️ 미혼에 대한 사회적 편견 해소

▪️ 혼인과 출산에 대한 자유로운 선택 보장

 

5. 미래 전망:

▪️ 혼인 감소 추세는 단기간 내에 역전될 가능성이 낮음

▪️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맞는 새로운 정책 및 사회적 인식 변화 필요

▪️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고 다양한 가족 형태를 포용하는 사회 만들어야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