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47

네이버랩스의 '디지털트윈과 네옴시티 사업' 디지털 트윈의 정의 디지털 트윈은 현실 세계의 물체(세계의 기계, 장비, 사물 등)의 컴퓨터 속 가상 세계에서 쌍둥이를 만들어 구현한 것으로 실제 제품을 제작하기 전 모의 시험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술을 말합니다. 이러한 개념은 (GE)제너럴 일렉트릭이 2000년대에 제조업에 도입 후 건설, 항공, 에너지, 헬스케어, 도시설계, 국방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업 뿐 정부의 국토관리분야에서도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해당 기술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환경 정보를 수집하여 디지털 트윈에 적용하면 환경 영향을 파악하고 기기 고장도 예측 가능합니다. 3차원 설계와 사물인터넷(IoT) 기술 발전으로 정확도가 향상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시물레이션과 검증이 가능한 기술을.. 2024. 1. 21.
미국 상업용부동산 디폴트위기, 연체율과 3천조 만기 어쩌나? 미국 상업용 부동산 대출 규모 3천조 원 만기 도래 다가오는 2027년까지 미국은 3천조원의 만기 부동산 대출을 상환해야 합니다. 이 엄청난 규모의 대출로 부채는 '채무불이행 급증'이라는 시장과 상황과 맞물려 미국의 부동산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은 앞으로 4년 이내에 약 2조 2000억 달러에 이르는 상업용 부동산 관련 대출 만기를 해결해야 합니다. 채무 금액이 너무 크다 보니 감이 안 잡힐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미국 2024년 회계연도(2023년 10월 1일~ 2024년 9월 30일) 예산액은 6조 9천억 달러(약 9,100조 원) 규모입니다. 규모로 모면 대한민국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긴 합니다. 참고로 2024년 대한민국 예산이 약 657조 입니다. 서울시 20.. 2024. 1. 20.
중국의 로봇사랑 '로봇밀도'와 휴머노이드 로봇 시대까지 인구순위 세계 2위 중국, '로봇시장'을 견인하다 세계인구 1위는 인도이지만 제가 자라던 시절에서는 중국이 압도적이었던 적이 있습니다. 비록 인도에 1위 자리를 내주긴 했지만 여전히 14억 이상의 인구 대국입니다. 이런 중국이 산업 현장에 로봇을 대거 투입하면서 사람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생산 현장에 있는 산업용 로봇의 반 이상 될 것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입니다. 실제로 2022년 전 세계 로봇 중 52%가 중국에 설치되었고, 약 29만 258대에 달한다고 합니다. 그럼 중국은 그 많은 로봇에 어디에 설치하고 있을까요? 세계의 공장이라는 별명에 걸맞게 정말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제조업 자동화 수준을 평가할 때 사용하는 '로봇밀도(종원원 10,000명 당 로봇 운영대수 )라는 용어가.. 2024. 1. 19.
배달로봇 '류비와 개미' 도심 자율주행 시대를 열다 배달로봇의 화려한 외출이 시작되다 류빌리티 '뉴비'와 로보티즈 '개미'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자율주행이라는 말은 완성차 업체에서만 사용하는 말이 아닙니다. 이제는 배달로봇이 실내에서 야외로 외출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행여나 길가와 횡단보도에서 이런 로봇을 만나더라도 당황하지 마시고 씩 한번 웃어 주세요. 자율주행 배달로봇의 등장은 어쩌면 시대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의 발전은 항상 그 시대와 사회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인공지능과 딥러닝 기술을 통해 자율주행 시스템 기술로 인해 로봇과 함께 하는 시대가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2024년 우리는 배달로봇으로 인해 그동안 겪지 못했던 새로운 경험을 시작하게 될 것 같습니다. 로봇이 실내가 아닌 실외와 도로에서 활보하기 위해서는 법개.. 2024. 1. 19.